중학교 2학년 때 캠프에 왔던 경험이 있었던 저는
이 캠프가 무척 힘들다고 생각했었으나,
미화된 기억과 엄마의 회유로 또 다시 이 캠프에 오게 되었습니다.
그땐 어렸고 제대로 공부한 적도 없어 무척 힘들었지만 이젠 좀 컸고,
공부도 해봤으니 14시간도 4시간처럼 집중하다보면 지나가버리지 않을까하고 생각했었습니다. 딱 입소첫날까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둘째 날이 되어 제대로 공부하다보니 아 이게 진짜 힘든 일이란 걸
또다시 깨달았습니다.
인간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고2여름방학이 나에게 마지막 방학일 텐데 이렇게 낭비하는 구나’하는 마음에 자꾸만 후회가 밀려들어왔으나 아까운 돈과 예상외로 아이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모습에 놀라 고개를 숙여 단어 책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어쨌든 간에 캠프에 온 이유가 공부 습관 때문이고
즐거운 방학을 버리고 온 만큼 공부에 전념해야 할 때이며
나 혼자로선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도움이 절실히 필요했고
그렇기 때문에 캠프에 오게 된 것이니 전념해보자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14시간동안 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고
집중이 안 된다거나 잠이 올 때가 많이 있었지만
집중이 안 될 때조차 주위를 둘러보면
나를 제외한 모든 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모습이 비춰졌고
어쩔 수없이, 공부 빼고는 그 시간동안 할 게 없어서,
공부라는 것을 나름의 시간 때우기용 장난감으로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동기가 어찌됐건 14시간 앉아 공부를 하는 것 자체가 기적이었고,
30분 계획표라는 핫 아이템을 통해 체계적인 공부를 해본 건
꽤 괜찮은 일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공부가 적응되어가고 있었고
마음에 안 들던게 하나있었는데 바로 음식이었습니다.
‘솔직히 먹을거리가 제일 중요한데 엄마의 아침식탁보다
입맛에 맞지 않는 걸 먹으며 어떻게 3주 동안 공부만 하고 버티란 거지?’
불만 가득한 눈빛을 보내며 애도 안하는 음식투정을 부리는데
너무나도 감동적인 것은 우리의 불평불만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윤민수 원장님께서 싸우셨는지 협의를 보셨는지는 모르지만
학생들의 건의를 통해 식단을 바꾼 것이었습니다!
그것에 감동해 더 열심히 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무엇보다 캠프에 가장 만족하는 점은
‘유혹거리 없이 책과 필기구밖에 없는 우리를 밝은 강당에 던져 놓음으로써 진짜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단 것이고 우리를 위했던 낮잠조차 공부를 위했단 사실이고 틀림없이 캠프의 모든 것이 공부를 향해 있단 사실’이었습니다.
공부를 위한 캠프라는 말 하나로도 이 캠프 프로그램 계획이 설명 될 만큼
내세울게 공부뿐인 캠프였습니다.
또 헬퍼 선생님들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모처럼 보기 힘든 선생님들이 많다보니
스카이대를 당연하게 받아 드릴만큼 훌륭하신 선생님들이 많았고
헬퍼 선생님들께서 질문을 못보고 지나치실 때는
실장님과 가이드선생님들께서 알려주시고 도와주시는 모습에
더욱 힘이 났습니다.
잠을 2시간밖에 못 주무셨다고 하던데 우리 앞에선 최대한
힘내려 노력하시는 모습이 참 좋았습니다.
솔직히 후기에 안 좋았던 점들만 나열해야지 생각했었는데
막상 쓰다 보니 좋았던 점들이 더 많은 것 같아 손이가는대로 써봤습니다.
결국 집에선 최대 4시간밖에 못하던 공부시간을 늘렸고,
오랫동안 앉아 있지 못 하고 계획 따윈 세울 줄 몰랐던 저를
탈바꿈한 기회가 된 것 같아서 다시는 캠프에 오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공부습관을 바로잡아서 집에 간다면 전 30분씩 끊어 계획을 세우진 않더라도 구체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공부시간을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다시는 이 캠프에 오게 되지 않도록 꾸준히 공부를 해나갈 것을 다짐합니다.
중학교 2학년 때 캠프에 왔던 경험이 있었던 저는
이 캠프가 무척 힘들다고 생각했었으나,
미화된 기억과 엄마의 회유로 또 다시 이 캠프에 오게 되었습니다.
그땐 어렸고 제대로 공부한 적도 없어 무척 힘들었지만 이젠 좀 컸고,
공부도 해봤으니 14시간도 4시간처럼 집중하다보면 지나가버리지 않을까하고 생각했었습니다. 딱 입소첫날까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둘째 날이 되어 제대로 공부하다보니 아 이게 진짜 힘든 일이란 걸
또다시 깨달았습니다.
인간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고2여름방학이 나에게 마지막 방학일 텐데 이렇게 낭비하는 구나’하는 마음에 자꾸만 후회가 밀려들어왔으나 아까운 돈과 예상외로 아이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모습에 놀라 고개를 숙여 단어 책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어쨌든 간에 캠프에 온 이유가 공부 습관 때문이고
즐거운 방학을 버리고 온 만큼 공부에 전념해야 할 때이며
나 혼자로선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도움이 절실히 필요했고
그렇기 때문에 캠프에 오게 된 것이니 전념해보자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14시간동안 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고
집중이 안 된다거나 잠이 올 때가 많이 있었지만
집중이 안 될 때조차 주위를 둘러보면
나를 제외한 모든 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모습이 비춰졌고
어쩔 수없이, 공부 빼고는 그 시간동안 할 게 없어서,
공부라는 것을 나름의 시간 때우기용 장난감으로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동기가 어찌됐건 14시간 앉아 공부를 하는 것 자체가 기적이었고,
30분 계획표라는 핫 아이템을 통해 체계적인 공부를 해본 건
꽤 괜찮은 일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공부가 적응되어가고 있었고
마음에 안 들던게 하나있었는데 바로 음식이었습니다.
‘솔직히 먹을거리가 제일 중요한데 엄마의 아침식탁보다
입맛에 맞지 않는 걸 먹으며 어떻게 3주 동안 공부만 하고 버티란 거지?’
불만 가득한 눈빛을 보내며 애도 안하는 음식투정을 부리는데
너무나도 감동적인 것은 우리의 불평불만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윤민수 원장님께서 싸우셨는지 협의를 보셨는지는 모르지만
학생들의 건의를 통해 식단을 바꾼 것이었습니다!
그것에 감동해 더 열심히 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무엇보다 캠프에 가장 만족하는 점은
‘유혹거리 없이 책과 필기구밖에 없는 우리를 밝은 강당에 던져 놓음으로써 진짜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단 것이고 우리를 위했던 낮잠조차 공부를 위했단 사실이고 틀림없이 캠프의 모든 것이 공부를 향해 있단 사실’이었습니다.
공부를 위한 캠프라는 말 하나로도 이 캠프 프로그램 계획이 설명 될 만큼
내세울게 공부뿐인 캠프였습니다.
또 헬퍼 선생님들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모처럼 보기 힘든 선생님들이 많다보니
스카이대를 당연하게 받아 드릴만큼 훌륭하신 선생님들이 많았고
헬퍼 선생님들께서 질문을 못보고 지나치실 때는
실장님과 가이드선생님들께서 알려주시고 도와주시는 모습에
더욱 힘이 났습니다.
잠을 2시간밖에 못 주무셨다고 하던데 우리 앞에선 최대한
힘내려 노력하시는 모습이 참 좋았습니다.
솔직히 후기에 안 좋았던 점들만 나열해야지 생각했었는데
막상 쓰다 보니 좋았던 점들이 더 많은 것 같아 손이가는대로 써봤습니다.
결국 집에선 최대 4시간밖에 못하던 공부시간을 늘렸고,
오랫동안 앉아 있지 못 하고 계획 따윈 세울 줄 몰랐던 저를
탈바꿈한 기회가 된 것 같아서 다시는 캠프에 오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공부습관을 바로잡아서 집에 간다면 전 30분씩 끊어 계획을 세우진 않더라도 구체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공부시간을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다시는 이 캠프에 오게 되지 않도록 꾸준히 공부를 해나갈 것을 다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