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겨울에 나는 14시간캠프에
갇혀 14시간 동안 공부를 했었다.
그때 당시 나는 중학교를 막 졸업한
직후이기 때문에 어리버리한 상태로
윈터 캠프에 와서공부를 하게 되었다.
나는 그 당시 14시간캠프의 환경이
의외로 나에게 잘 맞았기 때문에 캠프에서
친구들 사이에서 공부를 좀 열심히 하는 친구라고
알려져 있을 만큼 나는 정말 성실했던 학생이었다.
겨울캠프를 퇴소하고 딱 하루만 놀고
공부하자는 마음을 갖고 신나게 놀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것은 계속 지속되었고,
결국 1학년 내신을 말아먹었다.
진짜 이대로는 나의 인생이 어떻게 될지 몰라,
나는 다시 한번 14시간캠프 때
나름 성실했던 학생으로 돌아가기 위해
다시 14시간겨울캠프에 참여하게 되었다
저번에 참여했던 것에 비해
나는 훨씬 더 미친듯이 공부를 했다.
원래 14시간캠프에서의 기상은 6시이지만
나는 알람 시계를맞춰 5시 30분에 일어나
단어를 6시까지 30분동안 40개 정도 외웠고,
이동시간에는 어제 외웠던 단어를 암기하고,
밥 먹을 때도 단어를 보는 등
이번 캠프에서는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여,
미친 듯이 공부만 했다.
솔직히 나는 지난 겨울 캠프때 최선을
다했다고 느꼈던 내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그때 당시를 생각해보니 중간중간 친구들과
담소도 즐겨 했던것 같다.
이렇게 캠프에서 열심히 했다고 느꼈지만
현장인 집에 돌아가 학습을 하려고 하니 내가
그동안 소홀히 했던 부분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지난 겨울캠프때
겉으로만 노력했던 모습과는 달리
진정으로 미친듯이 공부를 하니,
처음에는 수학문제를 10문제 풀면 8문제를
틀려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내가
14시간캠프에 와서는 남는 게 시간이기 때문에,
수학문제만 푸니 이제는10문제 풀면
2문제만 틀리게 되었다.
14시간캠프에서 강조하는 것이 아는 공부인데,
그동안 나는 아는 공부가 아닌 모르는
공부만 하고 있던 것 이였다.
14시간캠프에 2번 참여하니,
아는공부를 위해서는 개념을 소홀히 하지 않고,
개념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다른 사람이 문제에 대해 궁금해하면
설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는 공부라고 느꼈다.
나는 아는 공부를 하면서 단어
1000개를 완전히 숙지를 하였고,
수1을 한바퀴 돌렸으며, 수2 함수의 극한까지 나가고,
수능국어의 정석에서 파트6까지 나갔고,
영어 문법책을 2바퀴 돌렸다.
14시간캠프를 2번이나 참가한 학생의
입장으로 14시간캠프에 대해 평가를 하자면
14시간캠프은 삼계표가 치트키라고 생각한다.
삼계표란 30분 계획표의 줄임말이다.
30분 계획표는 30분동안 공부계획을 짜고,
30분이 지난 후에는 계획에 대해 평가를하며
자신이 세운 계획에 대해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솔직히 말해서 14시간 동안
공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여기에 오기 전 까지는 14시간 캠프에서
14시간 동안‘30분 계획표’를 쓰면서 공부를 하는데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이것은 혁명이다!
정말 30분 동안 딱 집중해서 하고
다시 계획을 짜면서 조금 머리를 식히는데
그게 이렇게까지 효력이 좋을 줄은 몰랐다.
만약 내가 14시간캠프에 오지 않고,
집에 있었더라면 나는 고2라는
공부의 부담감을 가지고는 있지만
막상 실천하기는 싫어, 방학 계획만 짜고
룰루랄라 시간만 낭비했을 것이다
작년의 나는 퇴소 후 딱 하루만 놀자며
스스로 나에게 타협을 한 미련한 사람이었지만,
지금의 나는 목표가 뚜렷해졌으니,
저번과 같은상황이 나오지 않도록
공부하는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 제주에 가서도,
하루 최소 5시간 이상은 공부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번 경험을 마지막 발판 삼아,
학교에서 중위권인 내가, 최상위권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14시간캠프의 습관을
지속을 한 후 연세대 공대라는 목표를 이룬 뒤
꼭 다시 14시간캠프에 학생이 아닌
멘토 선생님으로 반드시 꼭 참여할 것이다.
이제는 집에 돌아가서도
공기계를 집안 구석에 숨기고,
폴더폰만 사용을 하면서 14시간캠프에서의
생활을 이어가면서 공부할 것이다.
인생을 산 기간에 비해 매우 짧은 기간인
이 3주가 나에게는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rhdmsql1324@naver.com
작년 겨울에 나는 14시간캠프에
갇혀 14시간 동안 공부를 했었다.
그때 당시 나는 중학교를 막 졸업한
직후이기 때문에 어리버리한 상태로
윈터 캠프에 와서공부를 하게 되었다.
나는 그 당시 14시간캠프의 환경이
의외로 나에게 잘 맞았기 때문에 캠프에서
친구들 사이에서 공부를 좀 열심히 하는 친구라고
알려져 있을 만큼 나는 정말 성실했던 학생이었다.
겨울캠프를 퇴소하고 딱 하루만 놀고
공부하자는 마음을 갖고 신나게 놀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것은 계속 지속되었고,
결국 1학년 내신을 말아먹었다.
진짜 이대로는 나의 인생이 어떻게 될지 몰라,
나는 다시 한번 14시간캠프 때
나름 성실했던 학생으로 돌아가기 위해
다시 14시간겨울캠프에 참여하게 되었다
저번에 참여했던 것에 비해
나는 훨씬 더 미친듯이 공부를 했다.
원래 14시간캠프에서의 기상은 6시이지만
나는 알람 시계를맞춰 5시 30분에 일어나
단어를 6시까지 30분동안 40개 정도 외웠고,
이동시간에는 어제 외웠던 단어를 암기하고,
밥 먹을 때도 단어를 보는 등
이번 캠프에서는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여,
미친 듯이 공부만 했다.
솔직히 나는 지난 겨울 캠프때 최선을
다했다고 느꼈던 내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그때 당시를 생각해보니 중간중간 친구들과
담소도 즐겨 했던것 같다.
이렇게 캠프에서 열심히 했다고 느꼈지만
현장인 집에 돌아가 학습을 하려고 하니 내가
그동안 소홀히 했던 부분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지난 겨울캠프때
겉으로만 노력했던 모습과는 달리
진정으로 미친듯이 공부를 하니,
처음에는 수학문제를 10문제 풀면 8문제를
틀려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내가
14시간캠프에 와서는 남는 게 시간이기 때문에,
수학문제만 푸니 이제는10문제 풀면
2문제만 틀리게 되었다.
14시간캠프에서 강조하는 것이 아는 공부인데,
그동안 나는 아는 공부가 아닌 모르는
공부만 하고 있던 것 이였다.
14시간캠프에 2번 참여하니,
아는공부를 위해서는 개념을 소홀히 하지 않고,
개념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다른 사람이 문제에 대해 궁금해하면
설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는 공부라고 느꼈다.
나는 아는 공부를 하면서 단어
1000개를 완전히 숙지를 하였고,
수1을 한바퀴 돌렸으며, 수2 함수의 극한까지 나가고,
수능국어의 정석에서 파트6까지 나갔고,
영어 문법책을 2바퀴 돌렸다.
14시간캠프를 2번이나 참가한 학생의
입장으로 14시간캠프에 대해 평가를 하자면
14시간캠프은 삼계표가 치트키라고 생각한다.
삼계표란 30분 계획표의 줄임말이다.
30분 계획표는 30분동안 공부계획을 짜고,
30분이 지난 후에는 계획에 대해 평가를하며
자신이 세운 계획에 대해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솔직히 말해서 14시간 동안
공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여기에 오기 전 까지는 14시간 캠프에서
14시간 동안‘30분 계획표’를 쓰면서 공부를 하는데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이것은 혁명이다!
정말 30분 동안 딱 집중해서 하고
다시 계획을 짜면서 조금 머리를 식히는데
그게 이렇게까지 효력이 좋을 줄은 몰랐다.
만약 내가 14시간캠프에 오지 않고,
집에 있었더라면 나는 고2라는
공부의 부담감을 가지고는 있지만
막상 실천하기는 싫어, 방학 계획만 짜고
룰루랄라 시간만 낭비했을 것이다
작년의 나는 퇴소 후 딱 하루만 놀자며
스스로 나에게 타협을 한 미련한 사람이었지만,
지금의 나는 목표가 뚜렷해졌으니,
저번과 같은상황이 나오지 않도록
공부하는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 제주에 가서도,
하루 최소 5시간 이상은 공부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번 경험을 마지막 발판 삼아,
학교에서 중위권인 내가, 최상위권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14시간캠프의 습관을
지속을 한 후 연세대 공대라는 목표를 이룬 뒤
꼭 다시 14시간캠프에 학생이 아닌
멘토 선생님으로 반드시 꼭 참여할 것이다.
이제는 집에 돌아가서도
공기계를 집안 구석에 숨기고,
폴더폰만 사용을 하면서 14시간캠프에서의
생활을 이어가면서 공부할 것이다.
인생을 산 기간에 비해 매우 짧은 기간인
이 3주가 나에게는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rhdmsql13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