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시간캠프의 진실 - 고1 김석헌

윤시온
2022-04-11
조회수 364


사실 나는 처음에 엄마가 여길 보낸다고 하셨을 때 14시간 학습이란 말을 듣고 웃었다. 내가 어떻게 14시간을 공부하냐는 의구심도 가졌다. 그냥 가서 쉬엄쉬엄 졸면서 천천히 해야지 하고 책을 4권 챙겨 왔다. 그리고 두 번째날에 필요물품에 자습서만 잔뜩 적었다. 내가 가져온 책들은 순식간에 끝날 것 같았기 때문이다. 첫날은 매우 힘들었다. 첫날 14시간 공부 때 잠깐 멍을 때렸다.... 그러자 헬퍼 선생님께서 등장하셨다... 그리고 나오라고 하셨다. 나는 당황스러웠다. 심하게 혼나면 어쩌지라는 걱정과 함께 불안함이 엄습해왔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선생님께서 친절하게 집중 잘하지 못하는 것 같으니깐 팔굽혀펴기 10개만 하고 들어가서 열심히 해보자는 말을 들었다.

팔굽혀펴기를 하고 들어가니 정말 신기하게도 집중이 더 잘되었다. 14시간캠프의 첫 번째 진실은 딴 짓을 못한다는 것이었다. 놀랐다.... 그리고 말이 14시간 학습이지 현실은 14시간 반이였다.

14시간캠프의 특장점

원래 다른 방학 같았으면 12시쯤 일어나서 대충 놀다가 4시쯤 씻고 학원숙제도 하지 않고 학원을 왔다 갔다만 했을 것이다. 그런데...... 14시간캠프에 오자 6시에 일어나서 6시 반부터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건 다름 아닌 공부였다. 공부를 시작하면 선생님들이 급변하신다. 정말 14시간 가까이 앞에 서 계시면서 집중하지 않는 아이 그리고 방해가 되는 아이들을 엄격하게 통제하셨다.


마지막은 30분 계획표 일명 삼계표이다. 30분마다 공부할 양을 정하고 자신이 얼마나 잘 했는가 자기 평가까지 하게 되어있었다. 정말 딴짓은 상상도 못할 그런것들이 너무 힘들었다. 그러나 2주차부터는 어느 정도 적응이 되었고 정말 보람찬 공부를 할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큰 장점은 멘토특강이였다. 멘토특강이란 명문대 출신의 선생님들이 명문대를 어떠한 방법으로 진학했고 그런 과정에서의 팁이라던가 우리가 쉽게 좌절할 수 있는 부분들을 선생님들도 겪으셨다는 경험담을 말해주시는 시간이다. 선생님들의 사례를 통해 어? 나도 할 수 있겠는데? 라는 생각이 들었고 나중에 힘이 들때에도 선생님들을 생각하면 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느꼈다.



맺음말

솔직히 말해서 난 다시 오기 힘들 것 같다. 하지만 나의 성적이 낮아지고 내가 그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면 나의 선택은 절대로 포기가 아닌, 또 한 번의 14시간캠프가 될 것이다.

정말 난 원래 하루에 한두 시간 공부하는 것도 지겨워하고 힘들어했다. 하지만 제가 집으로 돌아가면 한두 시간은 물론이고 세네시간도 힘들지 않게 소화해 낼수 있다고 자신할 수 있다. 만약 공부는 하고 싶지만 스스로 자꾸만 무너지고 자신감이 없는 학생들이 충분히 방학과 비용을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14시간캠프를 통해 자신감을 만들어 주신 16조 헬퍼 조성해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16조 김석헌-jungsh0730@hanmail.net

0 0